보건의료 분야에서 1) 지역사회의 요구에 맞춘 사업 개발, 2) 근거 기반의 정책 마련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특히 경기도의 경우, 시군에 따라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반영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임이에 경기도의 공공보건의료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음
선정 과정
1차 검토 지표 선정
전문가/실무자 대상 의견조사
최종 지표 선정
(연구보고서) 경기도 공공보건의료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지표 생성연구(2018)
(연구보고서) 경기도 공공보건의료 모니터링을 위한 시군구 통계진(2018)
(이슈브리핑) 경기도 공공보건의료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지표 생성(2019)
모든 참고자료는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핵심 지표
건강결정요인
모니터링 핵심 지표
건강결과 및 의료자원·이용 등
모니터링 핵심 지표
프로파일 해석법
그래프 해석하기
위의 예시에서,
해당 지표는 회색 막대를 토대로 보았을 때, 경기도 시군구 값들이 75%에서 최대값 사이에 상대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음.
선택한 시군구의 값은 경기도 전체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도형(◆)이 ①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경기도 시군구 중에서 최소값 25%값 사이에 위치한다고 해석 가능함
COPYRIGHT© 2020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 ALL RIGHTS RESERVED.